① 핵심주제 선정
구분 | 핵심주제 | Risk | 대응현황 |
---|---|---|---|
E 환경 |
친환경 제품 및 서비스 개발 | 제품 제조 및 사용시 환경오염 물질 배출 | Zero-Waste, 미세플라스틱 대체, Up-Cycling 제품 개발 |
온실가스 배출 관리 | 공장 운영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 및 환경 오염 | 각 사업장 에너지 진단 & 저감 조치 실시, 태양광 시설 운영 | |
폐기물 및 오염물질 배출 | 무분별한 폐수 배출에 의한 환경오염 및 행정조치 | 재활용 분리배출 범위 확대 및 냉각수 사용 시스템 도입 | |
S 사회 |
사업장 안전 관리 | 사업장 안전사고로 인한 인적/물적 손해 | 임직원 참여 위험성평가 시스템 구축 추진 |
공급망 지속가능성 관리 | 재무/비재무 리스크로 인한 공급망 지속성 약화 | 협력사 선정/평가시 ESG 준수 항목 추가 | |
동반성장 정책 | 사업적 이해관계자(협력사/고객사) 관계 악화 | 협력사 성과공유제 지속 운영 및 친환경 지원 사업 실시 | |
G 지배구조 |
윤리/준법경영 | 유관 기관의 제재 조치로 인한 사업 제한 | 법령 개정 현황 모니터링 (분기별) 및 전사 공유 |
통합 리스크 관리 | 재무적/비재무적 리스크 대응체계 미흡 | 이사회의 리스크 관리 활동 강화 | |
B 사업 |
비즈니스모델 유지/확장 | 실적 성장 둔화에 따른 기업가치 훼손 | 기존 사업 역량 강화 및 사업다각화 지속 추진 |
제품 혁신 및 연구개발/투자 | 사업성 약화에 따른 투자 손실 | 그룹 연계 투자심의 및 사업성 검토 실시 |
핵심주제 | 비지니스에 미치는 영향 | 사회·환경에 미치는 영향 | |||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비용 | 수익 | 리스크 | 임직원 | 주주/투자자 | 협력사 | 고객 | 지역사회 | ||
E | 친환경 제품 및 서비스 개발 | ◎ | ◎ | ◎ | ○ | ○ | ◎ | ◎ | ◎ |
온실가스 배출 관리 | ◎ | ○ | ◎ | ○ | ○ | ◎ | ◎ | ● | |
폐기물 및 오염물질 배출 | ◎ | ○ | ◎ | ○ | ○ | ◎ | ◎ | ● | |
S | 사업장 안전 관리 | ◎ | ○ | ● | ● | ◎ | ○ | ◎ | ○ |
공급망 지속가능성 관리 | ● | ◎ | ● | ○ | ○ | ● | ◎ | ○ | |
동반성장 정책 | ◎ | ◎ | ◎ | ○ | ○ | ● | ◎ | ○ | |
G | 윤리/준법경영 | ◎ | ○ | ◎ | ◎ | ● | ◎ | ◎ | ○ |
통합 리스크 관리 | ◎ | ○ | ◎ | ◎ | ● | ○ | ◎ | ○ | |
B | 비즈니스모델 유지/확장 | ◎ | ● | ◎ | ◎ | ◎ | ○ | ○ | ○ |
제품 혁신 및 연구개발/투자 | ◎ | ◎ | ◎ | ◎ | ○ | ◎ | ◎ | ○ |
③ 중대성 매트릭스
입고 전 관리 | 원료 입고 전 화학물질 관리법 등 법적사항 진행 및 유해위험요인 사전 모니터링 실시 |
---|---|
보관 관리 | 사업장 내로 운반된 화학물질은 위험성에 따라 위험물 저장소등 안전장소에 보관 |
사용 관리 | 원료 사용 시 유해위험성에 따른 적정 보호구 착용 및 안전장치 확인 후 작업 시행 |
운반 관리 | 사업장 내 생산된 제품은 위험물관리법 등 관계법령에 따라 운반·수송 진행 |
폐기 관리 | 생산 후 발생된 공정부산물 등 폐기물은 자체 폐기물관리 프로세스에 따라 적법 폐기 진행 |
사용량 저감 | 에탄올 등 용매 사용 저감 추진 - 단위당 생산량 확대- 회수 및 재활용 확대 방안 검토 및 추진 (친환경 설비투자 등) |
---|---|
친환경 기술 개발 | 기존 화학적 추출공법 → 친환경 물리적 추출공법 연구/개발 - 원자재 및 추출공정 내 물리적 가공을 통한 친환경 기술 개발- 최소단위 분쇄, 초고압 등의 신기술 적용 |
관련 법/규제 모니터링 | 대응 전략 |
---|---|
화학물질관리법 |
1.  원료 입고 전 법적사항 진행 및 유해위험요인 사전 점검 2.  운반된 화학물질 안전장소에 보관 3.  업사이클링과 같은 친환경 공정 활용 폐기물 최소화 |
대기환경보전법 |
1.  NOx(질소산화물), SOx(황산화물), 먼지 등 법적 기준보다 강화된 자체 기준을 수립 2.  주기적 모니터링을 통해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점검 3.  대기오염물질 배출 저감 방안 이행 4.  사후 관리 |
물환경보전법 |
1.  TOC(총유기탄소량), BOD(생물학적산소요구량), SS(부유물질) 등 법적 기준보다 강화된 자체 기준을 수립 2.  주기적 모니터링을 통해 수질오염물질 배출량 점검 3.  수질오염물질 배출 저감 방안 이행 4.  사후 관리 |
탄소중립기본법 |
1.  탄소중립중장기 계획 수립 및 이행 2.  온실가스 감축 설비 투자 및 도입 3.  친환경 에너지 생산 설비(태양광) 투자 |
폐기물관리법 |
1.  폐기물 배출 및 재활용 목표량 설정 2.  자체수립한 폐기물 처리 프로세스를 통해 환경영향 최소화 3.  업사이클링 활용 제품 개발 및 확대 |
변화 | 환경영향 | 리스크 관리 방안 |
---|---|---|
가뭄 |
∙ 재배지 면적 축소 ∙ 작물품종멸종 ∙ 수자원부족격화 ∙ 작물품질변화 |
∙ 용수 저감 - 용수 사용 전 과정 관리 및 자체 허용 범위 설정 운용 중 (사용량에 대한 자체적인 제한을 통한 저감 활동) - 용수 절감 캠페인 추진 ∙ 용수 재사용 - 정제수 (EDI) 농축수를 냉각수로 재사용 추진 (연간 1,70t 절감) - 빗물, 방류수 등 재활용을 통한 재사용 확대 ∙ 폐수 관리 - 현행 법규 대비 50% 이하 수준의 강화된 자체 기준 설정 - 오염물질 최소화 및 폐수 감축 목표 설정 |
홍수 |
∙ 재산 및 인명피해 ∙ 작물의 성장 둔화 |
|
오염 |
∙ 토양의 산성화 ∙ 수생태계 파괴 ∙ 사용가능 작물 수확량 감소 |
※ 해당 시스템은 ‘2023년 10월부터 가동하였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