① 핵심주제 선정
구분 | 핵심주제 | Risk | 대응현황 |
---|---|---|---|
E 환경 |
에너지 효율 | 탄소 배출량 증가로 규제 및 탄소세 부과 등 비용 부담 | 태양광 재생 에너지 전환 및 에너지 효율 개선 프로그램 운영 |
친환경 원료 및 자원순환 | 환경 오염 및 자원 고갈, 적발 시 대외적 기업 평판 악화 | 자사 친환경 원료 사용 확대 및 제로 웨이스트 활동 실시 | |
유해화학물질 취급/관리 | 현장 작업자 건강·생명 위험, 환경 오염 사고 발생 | 지정폐기물 전환 배출 확대 및 정기 안전 교육 실시 | |
S 사회 |
사회·환경적 가치 창출 | 정부 규제 간섭, 사회·환경적 이슈로 사업 확장 제한 |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인식 강화 및 지속가능경영 활동 제고 |
임직원 역량 강화 | 임직원 업무 역량 부족으로 조직 내 업무 불균형 초래 | 신규입사자 온보딩 교육 및 자기계발 지원 프로그램 실시 | |
사회공헌 활동 강화 | 기업 이미지 실추 및 이해관계자 신뢰 하락 | 지역사회 아동 정기 결연 후원 및 아동-임직원 참여 프로그램 | |
G 지배구조 |
지배구조 건전성 확보 | 이사회 운영 및 의사 결정 과정의 투명성, 독립성 미흡 | 외부 전문가 위임 및 이사회 구성원의 자발적 평가 실시 |
불공정 행위 및 부정부패 방지 | 과징금 등 법적 제재 부담 및 투자자 신뢰도 하락 | 부당내부거래 가이드라인 배포 및 부정부패 방지 교육 실시 | |
B 사업 |
공급망 리스크 관리 | 공급망 취약성으로 자재의 공급 물안정 및 생산성 저하 | 공급망 환경·사회적 리스크 평가 시스템 도입 및 프로세스 구축 |
경제가치 창출 | 기업의 경쟁력 저하 및 자본시장의 평가 하락 | 글로벌 시장 개척 및 혁신적인 제품 개발 등 성장 전략 도모 |
핵심주제 | 비지니스에 미치는 영향 | 사회·환경에 미치는 영향 | |||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비용 | 수익 | 리스크 | 임직원 | 주주/투자자 | 협력사 | 고객 | 지역사회 | ||
E | 에너지 효율 | ◎ | ● | ◎ | ◎ | ● | ◎ | ● | ◎ |
친환경 원료 및 자원순환 | ◎ | ◎ | ● | ○ | ◎ | ● | ◎ | ● | |
유해화학물질 취급/관리 | ◎ | ◎ | ◎ | ○ | ◎ | ◎ | ◎ | ● | |
S | 사회·환경적 가치 창출 | ◎ | ○ | ● | ◎ | ◎ | ◎ | ◎ | ◎ |
임직원 역량 강화 | ◎ | ◎ | ◎ | ○ | ◎ | ◎ | ◎ | ◎ | |
사회공헌 활동 강화 | ◎ | ○ | ◎ | ● | ○ | ○ | ○ | ○ | |
G | 지배구조 건전성 확보 | ◎ | ○ | ◎ | ● | ◎ | ◎ | ◎ | ◎ |
불공정 행위 및 부정부패 방지 | ◎ | ◎ | ◎ | ◎ | ○ | ○ | ○ | ● | |
B | 공급망 리스크 관리 | ○ | ◎ | ◎ | ○ | ◎ | ○ | ◎ | ◎ |
경제가치 창출 | ◎ | ◎ | ● | ◎ | ○ | ◎ | ◎ | ◎ |
③ 중대성 매트릭스
입고 전 관리 | 원료 입고 전 화학물질 관리법 등 법적사항 진행 및 유해위험요인 사전 모니터링 실시 |
---|---|
보관 관리 | 사업장 내로 운반된 화학물질은 위험성에 따라 위험물 저장소등 안전장소에 보관 |
사용 관리 | 원료 사용 시 유해위험성에 따른 적정 보호구 착용 및 안전장치 확인 후 작업 시행 |
운반 관리 | 사업장 내 생산된 제품은 위험물관리법 등 관계법령에 따라 운반·수송 진행 |
폐기 관리 | 생산 후 발생된 공정부산물 등 폐기물은 자체 폐기물관리 프로세스에 따라 적법 폐기 진행 |
사용량 저감 | 에탄올 등 용매 사용 저감 추진 - 단위당 생산량 확대- 회수 및 재활용 확대 방안 검토 및 추진 (친환경 설비투자 등) |
---|---|
친환경 기술 개발 | 기존 화학적 추출공법 → 친환경 물리적 추출공법 연구/개발 - 원자재 및 추출공정 내 물리적 가공을 통한 친환경 기술 개발- 최소단위 분쇄, 초고압 등의 신기술 적용 |
관련 법/규제 모니터링 | 대응 전략 |
---|---|
화학물질관리법 |
1.  원료 입고 전 법적사항 진행 및 유해위험요인 사전 점검 2.  운반된 화학물질 안전장소에 보관 3.  업사이클링과 같은 친환경 공정 활용 폐기물 최소화 |
대기환경보전법 |
1.  NOx(질소산화물), SOx(황산화물), 먼지 등 법적 기준보다 강화된 자체 기준을 수립 2.  주기적 모니터링을 통해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점검 3.  대기오염물질 배출 저감 방안 이행 4.  사후 관리 |
물환경보전법 |
1.  TOC(총유기탄소량), BOD(생물학적산소요구량), SS(부유물질) 등 법적 기준보다 강화된 자체 기준을 수립 2.  주기적 모니터링을 통해 수질오염물질 배출량 점검 3.  수질오염물질 배출 저감 방안 이행 4.  사후 관리 |
탄소중립기본법 |
1.  탄소중립중장기 계획 수립 및 이행 2.  온실가스 감축 설비 투자 및 도입 3.  친환경 에너지 생산 설비(태양광) 투자 |
폐기물관리법 |
1.  폐기물 배출 및 재활용 목표량 설정 2.  자체수립한 폐기물 처리 프로세스를 통해 환경영향 최소화 3.  업사이클링 활용 제품 개발 및 확대 |
변화 | 환경영향 | 리스크 관리 방안 |
---|---|---|
가뭄 |
∙ 재배지 면적 축소 ∙ 작물품종멸종 ∙ 수자원부족격화 ∙ 작물품질변화 |
∙ 용수 저감 - 용수 사용 전 과정 관리 및 자체 허용 범위 설정 운용 중 (사용량에 대한 자체적인 제한을 통한 저감 활동) - 용수 절감 캠페인 추진 ∙ 용수 재사용 - 정제수 (EDI) 농축수를 냉각수로 재사용 추진 (연간 1,70t 절감) - 빗물, 방류수 등 재활용을 통한 재사용 확대 ∙ 폐수 관리 - 현행 법규 대비 50% 이하 수준의 강화된 자체 기준 설정 - 오염물질 최소화 및 폐수 감축 목표 설정 |
홍수 |
∙ 재산 및 인명피해 ∙ 작물의 성장 둔화 |
|
오염 |
∙ 토양의 산성화 ∙ 수생태계 파괴 ∙ 사용가능 작물 수확량 감소 |
폐자원 회수 및 폐열 활용 극대화
※ 해당 시스템은 ‘2023년 10월부터 가동하였습니다.
(단위 : 백만원)
구분 | 2021년 | 2022년 | 2023년 | 2024년 |
---|---|---|---|---|
동백나무씨 유박 업사이클링 소재 매출 |
1 | 9 | 43 | 73 |